전국가맹점주협의회 수 신 | 각 언론사 사회부, 경제부, 정치부, 사진부 | 담 당 |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정종열 정책위원장 | 제 목 | 전국가맹점주협의회·경기도 코로나19 영향 가맹점 실태조사 발표 | 배포일 | 2020. 3. 19 (목) 08:00 |
보 도 자 료
전국가맹점주협의회·경기도, 코로나19 영향 가맹점 실태조사 발표 - 경기·대구·경북 포함 전국 16개 시도 가맹점주 3,464명 조사 참여 - 가맹점주 97% 매출감소, 대구지역 38.1%·화장품 업종 48.4% 매출 절반이상 감소 - 가맹본부 지원 17%에 그쳐 상생의식 아쉬워.. 가맹본부에 가맹금 감면·마스크/소독제 지원·원부자재 인하/지원 원해 - 정부지원 요구사항, 부가세 감면(72.6%), 매출하락 손실분 현금지원(55.5%), 피고용 노동자 임금보전(47.6%) 순서 - 가맹점주 36.2% 영업시간 등 축소, 29.7%는 인원감축 시행 또는 예정 - 부가세 감면 확대, 임대료·교육비·의료비 세액공제, 직접지원 확대 필요 ! |
발 신 : 전국가맹점주협의회 대한제과외식가맹점협회·전국화장품가맹점연합회·네이처리퍼블릭가맹점주협의회·농협홍삼한삼인가맹점주협의회·더페이스샵가맹점주협의회·더풋샵가맹점주협의회·뚜레쥬르가맹점주협의회·롯데리아중앙협의회·르노삼성정비사업자연합회·미스터피자가맹점주협의회·본죽가맹점협의회·봉구스밥버거가맹점주협의회·뽕뜨락피자가맹점주협의회·서브웨이가맹점주협의회·설빙가맹점주협의회·쌍용자동차서비스프라자전국연합회·오피스디포가맹점주협의회·와라와라가맹점주협의회·월드크리닝지사장협의회·전국BBQ가맹점사업자협의회·전국비에치씨(BHC)가맹점협의회·전국아리따움가맹점주협의회·전국이니스프리가맹점주협의회·정관장가맹점주협의회·초록마을가맹점주협의회·카페베네전국가맹점주협의회·커브스전국가맹점주협의회·튼튼영어베이비리그가맹점주협의회·파리바게뜨가맹점주협의회·풀무원로하스가맹점협의회·피자에땅가맹점주협의회·피자헛가맹점주협의회·한국세븐일레븐가맹점주협의회·한국지엠정비사업자연합회·할리스커피가맹점주협의회 |
1. 전국가맹점주협의회·경기도, 전국 외식·도소매·서비스업종 3,464개 가맹점 대상 코로나19 영향 실태조사 실시 □ 전국가맹점주협의회와 경기도는 지난 3월 10일부터 14일까지(5일간) 전국 16개 시도에 분포해 있는 외식업 1214개, 도소매업 835개, 서비스업 1125개 가맹점(총 3,464개)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에 대해 모바일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 조사대상자의 가맹점 운영기간은 10년 이상자가 40.4%(1,398개) 으로 가장 많았다. 고용 직원 수는 5명 이상이 29.8%(1,034개), 4명이 18.2%(630개), 2명이 16.1%(558명) 순이었고, 연령대는 50대가 43.2%(1,496개), 40대 30.4%(1,054개), 60대 이상이 13%(451개) 순이었다. (이상 붙임자료 참고) 2. 전체 가맹점주 97.3%가 매출감소, 외식업도 어렵지만 도소매업과 서비스업 매출하락 더 심각 □ 도소매업과 서비스업 매출하락 심각 ○ 전체 조사에 참여한 3,464개 중 3,371개 가맹점주(97.3%) 매출이 2020년 1월 20일 코로나19 발생 전과 비교해 감소했으며, 하락폭은 전체 매출의 21 ~ 30% 감소 응답이 21.0%(728개)로 가장 많았다. ○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전체응답자(835명) 중 25.7%(215명)이 절반이상의 매출감소를 호소했고 서비스업의 경우 전체응답자의 24.2%가 절반이상의 매출감소를 겪고 있다고 답변했다. 단위: % 업종별 매출하락 | 구분 | 0~10% 감소 | 11~20% 감소 | 21~30% 감소 | 31~40% 감소 | 41~50% 감소 | 51% 이상감소 | 기타 | 외식업 | 24.5 | 23.7 | 22 | 10.6 | 5.8 | 7.9 | 5.4 | 도소매업 | 7.4 | 16.9 | 18.2 | 20.6 | 9.8 | 25.7 | 1.3 | 서비스업 | 7.1 | 10.0 | 21.3 | 19.3 | 17.2 | 24.2 | 0.9 | 기타업종 | 22.4 | 27.9 | 23.8 | 7.6 | 4.5 | 11.4 | 2.4 | 전체 | 14.6 | 18.0 | 21.0 | 15.6 | 10.4 | 17.8 | 2.7 |
□ 대구지역(38.1%)·화장품 업종(48.4%) 매출 절반이상 감소 ○ 가장 심각한 매출 감소를 나타낸 지역은 대구지역으로 전체응답자(147명) 중 38.1%(56명)가 절반이상의 매출감소를 겪었다고 답변했다. ○ 세부업종으로는 한·중·일·서양·기타외국식(분식 포함) 가맹점의 59.5%(응답자 22명/조사자 37명)가, 이미용 가맹점의 52.3%(응답자 23명/조사자 44명), 화장품 가맹점의 48.4%(응답자 150명/조사자 310명)가 전체 매출액의 절반이상이 감소했다고 답변했다. 3. 가맹본부 지원 17.4%에 그쳐 상생의식 아쉬워.. 가맹점 가맹본부에 가맹금 감면·마스크/소독제 지원·원부자재 인하/지원 원해 □ 일부 가맹본부(17.4%)가 마스크·소독제 등 지원(64.8%), 가맹금(로열티 등) 감면(20.9%), 식자재 등 원부자재 인하(20.1%)로 상생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복수응답 설문) 그러나 대부분은 아직 어떤 지원도 하지 않아 경제적 공동운명체로서 책임의식이 아쉽다. □ 전체 가맹점주들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가맹본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고 있으며 필요사항은 가맹금(로열티 등) 감면(48%), 식자재 등 원부자재 인하·지원(44.8%), 마스크·소독제 등 지원(45.3%), 폐기·반품 확대(19.6%), 가맹점 한시적·제한적 휴업허용(16.9%), 광고비 등 비용감면(9.4%)이라고 응답했다.(복수응답 설문) 단위: % 가맹본부 지원 필요사항 ※ 복수응답 설문 | 구분 | 가맹금(로열티 등) 감면 | 원부자재 인하·지원 | 광고비 등 감면 | 폐기·반품지원확대 | 마스크· 소독제 등 지원 | 한시적· 제한적 휴업허용 | 기타 | 외식업 | 29.9 | 79.2 | 15.5 | 23.3 | 46.5 | 12.0 | 3.6 | 도소매업 | 58.0 | 16.6 | 5.6 | 25.1 | 34.1 | 26.9 | 21.8 | 서비스업 | 65.9 | 22.8 | 7.1 | 10.2 | 50.2 | 14.9 | 9.2 | 기타 | 26.2 | 66.9 | 3.8 | 24.8 | 53.1 | 15.5 | 7.9 | 전체 | 48.0 | 44.8 | 9.4 | 19.6 | 45.3 | 16.9 | 10.2 |
4. 정부지원 요구사항, 부가세 감면(72.6%) > 매출하락 손실분 현금지원(55.5%) > 피고용 노동자 임금보전(47.6%) 순서 □ 직접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았는데 필요항목으로는 부가가치세 감면(72.6%), 매출하락 손실분 현금지원(55.5%), 고용안정 위해 피용 노동자 4대보험료 지원 등 임금보전(47.6%), 확진자 동선상 매출손실 지원(35.1%), 기타(2.7%) 순서였다(복수응답 설문). 단위: % 직접 지원 필요사항 ※ 복수응답 설문 | | 고용노동자 4대 보험료 지원/임금보전 | 부가가치세 감면 | 확진자 동선 상 점포 매출손실 등 지원 | 매출하락 손실 지원 | 기타 | 외식업 | 40.4 | 78.3 | 40.8 | 49.5 | 1.4 | 도소매업 | 41.6 | 63.6 | 32.8 | 69.8 | 4.9 | 서비스업 | 61.9 | 73.0 | 28.9 | 51.4 | 2.2 | 기타 | 39.7 | 73.4 | 42.1 | 54.8 | 3.1 | 전체 | 47.6 | 72.6 | 35.1 | 55.5 | 2.7 |
□ (지방)정부에 대해서는 마스크·소독제 등 지원(50.3%), 간급 운영자금 등 신속대출(47%), 지역화폐 등 지방재정 정책을 통한 매출향상 지원(40.5%), 코로나19 안전마크 부착·다중이용 시설 정기적 소독 등 적극적 방역(33.9%), 식자재 등 생활물가 폭등 방지대책 수립(24.6%), 기타(7.3%) 순으로 응답했다(복수응답 설문). 단위: % (지방)정부 지원 필요사항 ※ 복수응답 설문 | | 지역화폐 등 지방재정정책을 통한 매출향상지원 | 긴급 운영자금 등 신속대출 | 코로나19 안전마크 부착, 다중이용시설 정기적 소독 등 적극적 방역 | 마스크·소독제 등 지원 | 식자재 등 생활물가 폭등 방지대책 | 기타 | 외식업 | 36.5 | 38.8 | 35.7 | 56.5 | 38.1 | 4.8 | 도소매업 | 49.9 | 50.5 | 31.5 | 41.4 | 13.3 | 12.1 | 서비스업 | 37.6 | 55.4 | 32.5 | 48.8 | 16.6 | 6.7 | 기타 | 41.4 | 38.3 | 38.6 | 55.9 | 31.4 | 6.2 | 전체 | 40.5 | 47.0 | 33.9 | 50.3 | 24.6 | 7.3 |
5. 조사대상 가맹점주 36.2% 영업시간 등 축소, 29.7%는 인원감축 시행 또는 예정하고 있어 □ 이미 조사대상 가맹점주 중 26.7%는 영업시간 등 축소, 16.7%는 인원감축을 하고 있다. 그리고 9.4%는 영업시간 등 축소를 예정하고 있으며, 13%는 인원감축을 예정 중이라고 답했다. □ 예정 중까지를 합하여 실제 일정한 대응(예정)을 하고 있는 가맹점주 56.2%(1,946명)가 취하고 있는 구체적 방식은 영업시간 등 축소(64.4%) > 인원감축(52.9%) > 대출 등으로 운영자금 확보(32.4%) > 휴·폐업(7.8%) > 기타(2.4%)인 것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설문). 단위: % 실제 대응(예정) 가맹점주의 구체적 방식 ※ 복수응답 설문 | | 영업시간 등 축소 | 인원감축 | 대출 등 운영자금 확보 | 휴·폐업 | 기타 | 외식업 | 68.6 | 57.6 | 25.1 | 5.4 | 2.9 | 도소매업 | 73.8 | 48.1 | 35.4 | 12.3 | 2.1 | 서비스업 | 51.6 | 51.0 | 38.9 | 7.0 | 2.2 | 기타업종 | 71.7 | 52.2 | 30.8 | 8.2 | 1.9 | 전체 | 64.4 | 52.9 | 32.4 | 7.8 | 2.4 |
6. 부가세 감면 확대, 임대료·교육비·의료비 세액공제, 직접지원 확대 시급 ! □ 정부는 보다 적극적이고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정부는 각종 대출을 확대하고, 부가세 수혜대상을 늘리는 등 다양한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실태조사 결과를 볼 때,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정책이 필요하다. □ 구체적으로 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정부에 요구한다. ○ 세금 부담 완화 ▶ 생색내기성이 아닌 실제 대다수 자영업자에 대한 부가가치세 감면확대 ▶ 교육비·의료비·임대료 세액공제 실시 ○ 자영업 영역 노동자 고용안정 대책| ▶ 고용안정을 위해 자영업자에 고용된 노동자의 4대 보험료 지원 ▶ 자영업 영역 노동자에 대한 일자리지원금 지급 등 임금보전 ○ 자영업자 생계지원 확대 ▶ 확진자 방문 동선 상 자영업자 생계지원 ▶ 한·중·일·서양·기타외국식(분식 포함), 이미용, 화장품 등 매출타격 큰 자영업자 생계지원 ○ 운영자금 대출 신속·간소화 ○ 식자재 등 생활물가 폭등 방지대책 수립 □ 가맹본부도 상생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가맹본부 등 기업도 경제적 공동운명체로서 상생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일부 가맹본부의 경우 기부행렬을 이어가고 있지만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가맹본부는 ○ 가맹금(로열티), 광고비 등 감면 ○ 마스크, 소독제 등 지원 ○ 원부자재 인하·지원 ○ 폐기 및 반품지원 확대 ○ 가맹점의 한시적 또는 제한적 휴업(하루 중 일정 시간대 등) 허용을 시행해야 한다. 가맹점주 등 자영업자 또한 생존을 위해 싸우면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지금의 어려움이 생각보다 훨씬 오래갈 수 있다. 각자의 매장부터 코로나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고용된 노동자에 대한 해고를 최소화하며 슬기롭게 함께 견뎌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어느 때보다도 우리 모두의 상생의지와 지혜가 필요한 시기이다. ※ 붙임 : 코로나 19 영향 가맹점 실태조사 도표 및 그래프
붙임 | | 코로나 19 영향 가맹점 실태조사 도표 및 그래프 |
1. 가맹점 운영기간 단위 개 운영기간 | 1년 미만 | 1년 이상 ~ 3년 미만 | 3년 이상 ~ 5년 미만 | 5년 이상 ~ 7년 미만 | 7 년 이상 ~10년 미만 | 10년 이상 | 합계 | 응답자 | 153 | 480 | 520 | 367 | 546 | 1398 | 3,464 | 4.4% | 13.9% | 15.0% | 10.6% | 15.8% | 40.4% | 100% |

2. 응답자 연령대 단위 명 연령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이상 | 합계 | 응답자 | 58 | 405 | 1,054 | 1,496 | 451 | 3,464 | 1.7% | 11.7% | 30.4% | 43.2% | 13.0% | 100% |

3. 가맹점 직원 수 단위 명 직원 수 | 0명 (점주운영) | 1명 | 2명 | 3명 | 4명 | 5명 이상 | 합계 | 응답자 | 304 | 414 | 558 | 524 | 630 | 1,034 | 3,464 | 8.8% | 12.0% | 16.1% | 15.1% | 18.2% | 29.8% | 100% |
4. 코로나 19 이후 매출 변동(업종별) 단위 개 | 0~10% 감소 | 11~20% 감소 | 21~30% 감소 | 31~40% 감소 | 41~50% 감소 | 51% 이상 감소 | 기타 | 외식업 | 298 | 24.5% | 288 | 23.7% | 267 | 22.0% | 129 | 10.6% | 71 | 5.8% | 96 | 7.9% | 65 | 5.4% | 도소매업 | 62 | 7.4% | 141 | 16.9% | 152 | 18.2% | 172 | 20.6% | 82 | 9.8% | 215 | 25.7% | 11 | 1.3% | 서비스업 | 80 | 7.1% | 113 | 10.0% | 240 | 21.3% | 217 | 19.3% | 193 | 17.2% | 272 | 24.2% | 10 | 0.9% | 기타업종 | 65 | 22.4% | 81 | 27.9% | 69 | 23.8% | 22 | 7.6% | 13 | 4.5% | 33 | 11.4% | 7 | 2.4% | 전체 | 505 | 14.6% | 623 | 18.0% | 728 | 21.0% | 540 | 15.6% | 359 | 10.4% | 616 | 17.8% | 93 | 2.7% |
 5. 코로나19 이후 화장품 업종 매출 변동 
6. 코로나19 이후 대구지역 가맹점 매출 변동 
7. 가맹본부 지원내용(업종별)※ 복수응답 설문 단위 개 | 가맹금(로열티등) 감면 | 식자재인하·지원 | 광고비등감면 | 외식업종등폐기지원확대 | 마스크, 소독제 등 지원 | 한시적또는제한적 휴업허용 | 기타 | 외식업 | 23 | 11.5% | 82 | 41.0% | 36 | 18.0% | 4 | 2.0% | 102 | 51.0% | 2 | 1.0% | 4 | 2.0% | 도소매업 | 7 | 4.2% | 10 | 6.0% | 3 | 1.8% | 6 | 3.6% | 131 | 78.4% | 8 | 4.8% | 38 | 22.8% | 서비스업 | 96 | 48.5% | 8 | 4.0% | 4 | 2.0% | 2 | 1.0% | 131 | 66.2% | 4 | 2.0% | 3 | 1.5% | 기타업종 | | 0.0% | 21 | 56.8% | 0 | 0.0% | 1 | 2.7% | 26 | 70.3% | 0 | 0.0% | 2 | 5.4% | 전체 | 126 | 20.9% | 121 | 20.1% | 43 | 7.1% | 13 | 2.2% | 390 | 64.8% | 14 | 2.3% | 47 | 7.8% |
8. 가맹본부 지원 필요사항 (업종별) ※ 복수응답 설문 
9. (지방)정부 지원 필요사항 ※ 복수응답 설문 
10. 직접지원 필요사항(업종별) ※ 복수응답 설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