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 보도자료


제목2020.03.19 코로나19 가맹점주 실태조사 보도자료(최종)2020-03-19 09:09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20200319 코로나19 가맹점주 실태조사 보도자료(최종).pdf (661KB)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수 신

각 언론사 사회부, 경제부, 정치부, 사진부

담 당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정종열 정책위원장

제 목

전국가맹점주협의회·경기도 코로나19 영향 가맹점 실태조사 발표

배포일

2020. 3. 19 () 08:00


보 도 자 료



전국가맹점주협의회·경기도, 코로나19 영향 가맹점 실태조사 발표

- 경기·대구·경북 포함 전국 16개 시도 가맹점주 3,464명 조사 참여

- 가맹점주 97% 매출감소, 대구지역 38.1%·화장품 업종 48.4% 매출 절반이상 감소

- 가맹본부 지원 17%에 그쳐 상생의식 아쉬워..
가맹본부에 가맹금 감면·마스크/소독제 지원·원부자재 인하/지원 원해

- 정부지원 요구사항, 부가세 감면(72.6%), 매출하락 손실분 현금지원(55.5%), 피고용 노동자 임금보전(47.6%) 순서

- 가맹점주 36.2% 영업시간 등 축소, 29.7%는 인원감축 시행 또는 예정

- 부가세 감면 확대, 임대료·교육비·의료비 세액공제, 직접지원 확대 필요 !

발 신 : 전국가맹점주협의회
대한제과외식가맹점협회·전국화장품가맹점연합회·네이처리퍼블릭가맹점주협의회·농협홍삼한삼인가맹점주협의회·더페이스샵가맹점주협의회·더풋샵가맹점주협의회·뚜레쥬르가맹점주협의회·롯데리아중앙협의회·르노삼성정비사업자연합회·미스터피자가맹점주협의회·본죽가맹점협의회·봉구스밥버거가맹점주협의회·뽕뜨락피자가맹점주협의회·서브웨이가맹점주협의회·설빙가맹점주협의회·쌍용자동차서비스프라자전국연합회·오피스디포가맹점주협의회·와라와라가맹점주협의회·월드크리닝지사장협의회·전국BBQ가맹점사업자협의회·전국비에치씨(BHC)가맹점협의회·전국아리따움가맹점주협의회·전국이니스프리가맹점주협의회·정관장가맹점주협의회·초록마을가맹점주협의회·카페베네전국가맹점주협의회·커브스전국가맹점주협의회·튼튼영어베이비리그가맹점주협의회·파리바게뜨가맹점주협의회·풀무원로하스가맹점협의회·피자에땅가맹점주협의회·피자헛가맹점주협의회·한국세븐일레븐가맹점주협의회·한국지엠정비사업자연합회·할리스커피가맹점주협의회

1. 전국가맹점주협의회·경기도, 전국 외식·도소매·서비스업종 3,464개 가맹점 대상 코로나19 영향 실태조사 실시

전국가맹점주협의회와 경기도는 지난 310일부터 14일까지(5일간) 전국 16개 시도에 분포해 있는 외식업 1214, 도소매업 835, 서비스업 1125개 가맹점(3,464)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에 대해 모바일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대상자의 가맹점 운영기간은 10년 이상자가 40.4%(1,398) 으로 가장 많았다. 고용 직원 수는 5명 이상이 29.8%(1,034), 4명이 18.2%(630), 2명이 16.1%(558) 순이었고, 연령대는 50대가 43.2%(1,496), 4030.4%(1,054), 60대 이상이 13%(451) 순이었다. (이상 붙임자료 참고)

 

 

2. 전체 가맹점주 97.3%가 매출감소, 외식업도 어렵지만 도소매업과 서비스업 매출하락 더 심각

도소매업과 서비스업 매출하락 심각

전체 조사에 참여한 3,464개 중 3,371개 가맹점주(97.3%) 매출이 2020120일 코로나19 발생 전과 비교해 감소했으며, 하락폭은 전체 매출의 21 ~ 30% 감소 응답이 21.0%(728)로 가장 많았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전체응답자(835) 25.7%(215)이 절반이상의 매출감소를 호소했고 서비스업의 경우 전체응답자의 24.2%가 절반이상의 매출감소를 겪고 있다고 답변했다.

단위: %

 

업종별 매출하락

 

구분 

0~10% 감소

11~20% 감소

21~30% 감소

31~40% 감소

41~50% 감소

51% 이상감소

기타

외식업

24.5

23.7

22

10.6

5.8

7.9

5.4

도소매업

7.4

16.9

18.2

20.6

9.8

25.7

1.3

서비스업

7.1

10.0

21.3

19.3

17.2

24.2

0.9

기타업종

22.4

27.9

23.8

7.6

4.5

11.4

2.4

전체

14.6

18.0

21.0

15.6

10.4

17.8

2.7

대구지역(38.1%)·화장품 업종(48.4%) 매출 절반이상 감소

가장 심각한 매출 감소를 나타낸 지역은 대구지역으로 전체응답자(147) 38.1%(56)가 절반이상의 매출감소를 겪었다고 답변했다.

세부업종으로는 한···서양·기타외국식(분식 포함) 가맹점의 59.5%(응답자 22/조사자 37), 이미용 가맹점의 52.3%(응답자 23/조사자 44), 화장품 가맹점의 48.4%(응답자 150/조사자 310)가 전체 매출액의 절반이상이 감소했다고 답변했다.

 

 

3. 가맹본부 지원 17.4%에 그쳐 상생의식 아쉬워..
가맹점 가맹본부에 가맹금 감면·마스크/소독제 지원·원부자재 인하/지원 원해

일부 가맹본부(17.4%)가 마스크·소독제 등 지원(64.8%), 가맹금(로열티 등) 감면(20.9%), 식자재 등 원부자재 인하(20.1%)로 상생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복수응답 설문) 그러나 대부분은 아직 어떤 지원도 하지 않아 경제적 공동운명체로서 책임의식이 아쉽다.

전체 가맹점주들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가맹본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고 있으며 필요사항은 가맹금(로열티 등) 감면(48%), 식자재 등 원부자재 인하·지원(44.8%), 마스크·소독제 등 지원(45.3%), 폐기·반품 확대(19.6%), 가맹점 한시적·제한적 휴업허용(16.9%), 광고비 등 비용감면(9.4%)이라고 응답했다.(복수응답 설문)

단위: %

 

가맹본부 지원 필요사항 복수응답 설문

 

 구분

가맹금(로열티 등) 감면

원부자재 인하·지원

광고비 등 감면

폐기·반품지원확대

마스크· 소독제 등 지원

한시적·

제한적 휴업허용

기타

외식업

29.9

79.2

15.5

23.3

46.5

12.0

3.6

도소매업

58.0

16.6

5.6

25.1

34.1

26.9

21.8

서비스업

65.9

22.8

7.1

10.2

50.2

14.9

9.2

기타

26.2

66.9

3.8

24.8

53.1

15.5

7.9

전체

48.0

44.8

9.4

19.6

45.3

16.9

10.2

 

 

4. 정부지원 요구사항, 부가세 감면(72.6%) > 매출하락 손실분 현금지원(55.5%) > 피고용 노동자 임금보전(47.6%) 순서

 

직접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았는데 필요항목으로는 부가가치세 감면(72.6%), 매출하락 손실분 현금지원(55.5%), 고용안정 위해 피용 노동자 4대보험료 지원 등 임금보전(47.6%), 확진자 동선상 매출손실 지원(35.1%), 기타(2.7%) 순서였다(복수응답 설문).

단위: %

 

직접 지원 필요사항 복수응답 설문

 

고용노동자

4대 보험료 지원/임금보전

부가가치세 감면

확진자 동선 상

점포 매출손실 등 지원

매출하락

손실 지원

기타

외식업

40.4

78.3

40.8

49.5

1.4

도소매업

41.6

63.6

32.8

69.8

4.9

서비스업

61.9

73.0

28.9

51.4

2.2

기타

39.7

73.4

42.1

54.8

3.1

전체

47.6

72.6

35.1

55.5

2.7

 

(지방)정부에 대해서는 마스크·소독제 등 지원(50.3%), 간급 운영자금 등 신속대출(47%), 지역화폐 등 지방재정 정책을 통한 매출향상 지원(40.5%), 코로나19 안전마크 부착·다중이용 시설 정기적 소독 등 적극적 방역(33.9%), 식자재 등 생활물가 폭등 방지대책 수립(24.6%), 기타(7.3%) 순으로 응답했다(복수응답 설문).

단위: %

 

(지방)정부 지원 필요사항 복수응답 설문

 

 

지역화폐 등

지방재정정책을

통한 매출향상지원

긴급 운영자금 등 신속대출

코로나19 안전마크 부착, 다중이용시설 정기적 소독 등 적극적 방역

마스크·소독제 등 지원

식자재 등 생활물가 폭등 방지대책

기타

외식업

36.5

38.8

35.7

56.5

38.1

4.8

도소매업

49.9

50.5

31.5

41.4

13.3

12.1

서비스업

37.6

55.4

32.5

48.8

16.6

6.7

기타

41.4

38.3

38.6

55.9

31.4

6.2

전체

40.5

47.0

33.9

50.3

24.6

7.3

 

5. 조사대상 가맹점주 36.2% 영업시간 등 축소, 29.7%는 인원감축 시행 또는 예정하고 있어

이미 조사대상 가맹점주 중 26.7%는 영업시간 등 축소, 16.7%는 인원감축을 하고 있다. 그리고 9.4%는 영업시간 등 축소를 예정하고 있으며, 13%는 인원감축을 예정 중이라고 답했다.

 

예정 중까지를 합하여 실제 일정한 대응(예정)을 하고 있는 가맹점주 56.2%(1,946)가 취하고 있는 구체적 방식은 영업시간 등 축소(64.4%) > 인원감축(52.9%) > 대출 등으로 운영자금 확보(32.4%) > ·폐업(7.8%) > 기타(2.4%)인 것으로 나타났다(복수응답 설문).

단위: %

 

실제 대응(예정) 가맹점주의 구체적 방식 복수응답 설문

 

 

 

영업시간 등 축소

 

인원감축

대출 등 운영자금 확보

·폐업

기타

외식업

68.6

57.6

25.1

5.4

2.9

도소매업

73.8

48.1

35.4

12.3

2.1

서비스업

51.6

51.0

38.9

7.0

2.2

기타업종

71.7

52.2

30.8

8.2

1.9

전체

64.4

52.9

32.4

7.8

2.4

 

 

6. 부가세 감면 확대, 임대료·교육비·의료비 세액공제, 직접지원 확대 시급 !

정부는 보다 적극적이고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정부는 각종 대출을 확대하고, 부가세 수혜대상을 늘리는 등 다양한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실태조사 결과를 볼 때,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정책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정부에 요구한다.

세금 부담 완화
생색내기성이 아닌 실제 대다수 자영업자에 대한 부가가치세 감면확대
교육비·의료비·임대료 세액공제 실시

자영업 영역 노동자 고용안정 대책|
고용안정을 위해 자영업자에 고용된 노동자의 4대 보험료 지원
자영업 영역 노동자에 대한 일자리지원금 지급 등 임금보전

자영업자 생계지원 확대
확진자 방문 동선 상 자영업자 생계지원
···서양·기타외국식(분식 포함), 이미용, 화장품 등 매출타격 큰 자영업자 생계지원

운영자금 대출 신속·간소화

식자재 등 생활물가 폭등 방지대책 수립

 

 

가맹본부도 상생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가맹본부 등 기업도 경제적 공동운명체로서 상생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일부 가맹본부의 경우 기부행렬을 이어가고 있지만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가맹본부는

가맹금(로열티), 광고비 등 감면

마스크, 소독제 등 지원

원부자재 인하·지원

폐기 및 반품지원 확대

가맹점의 한시적 또는 제한적 휴업(하루 중 일정 시간대 등) 허용을 시행해야 한다.

 

가맹점주 등 자영업자 또한 생존을 위해 싸우면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지금의 어려움이 생각보다 훨씬 오래갈 수 있다. 각자의 매장부터 코로나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고용된 노동자에 대한 해고를 최소화하며 슬기롭게 함께 견뎌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어느 때보다도 우리 모두의 상생의지와 지혜가 필요한 시기이다.

 

붙임 : 코로나 19 영향 가맹점 실태조사 도표 및 그래프


붙임

 

코로나 19 영향 가맹점 실태조사 도표 및 그래프


1. 가맹점 운영기간

단위 개

운영기간

1년 미만

1년 이상 ~ 3년 미만

3년 이상 ~ 5년 미만

5년 이상 ~ 7년 미만

7 년 이상 ~10년 미만

10년 이상

합계

응답자

153

480

520

367

546

1398

3,464

4.4%

13.9%

15.0%

10.6%

15.8%

40.4%

100%


 

2. 응답자 연령대

단위 명

연령대

20

30

40

50

60대 이상

합계

응답자

58

405

1,054

1,496

451

3,464

1.7%

11.7%

30.4%

43.2%

13.0%

100%

 


3. 가맹점 직원 수

단위 명

직원 수

0

(점주운영)

1

2

3

4

5명 이상

합계

응답자

304

414

558

524

630

1,034

3,464

8.8%

12.0%

16.1%

15.1%

18.2%

29.8%

100%

  

4. 코로나 19 이후 매출 변동(업종별)

단위 개

 

0~10% 감소

11~20% 감소

21~30% 감소

31~40% 감소

41~50% 감소

51% 이상 감소

기타

외식업

298

24.5%

288

23.7%

267

22.0%

129

10.6%

71

5.8%

96

7.9%

65

5.4%

도소매업

62

7.4%

141

16.9%

152

18.2%

172

20.6%

82

9.8%

215

25.7%

11

1.3%

서비스업

80

7.1%

113

10.0%

240

21.3%

217

19.3%

193

17.2%

272

24.2%

10

0.9%

기타업종

65

22.4%

81

27.9%

69

23.8%

22

7.6%

13

4.5%

33

11.4%

7

2.4%

전체

505

14.6%

623

18.0%

728

21.0%

540

15.6%

359

10.4%

616

17.8%

93

2.7%

 
 

5. 코로나19 이후 화장품 업종 매출 변동


 

6. 코로나19 이후 대구지역 가맹점 매출 변동


 

7. 가맹본부 지원내용(업종별)복수응답 설문

단위 개

 

가맹금(로열티등) 감면

식자재인하·지원

광고비등감면

외식업종등폐기지원확대

마스크, 소독제 등 지원

한시적또는제한적

휴업허용

기타

외식업

23

11.5%

82

41.0%

36

18.0%

4

2.0%

102

51.0%

2

1.0%

4

2.0%

도소매업

7

4.2%

10

6.0%

3

1.8%

6

3.6%

131

78.4%

8

4.8%

38

22.8%

서비스업

96

48.5%

8

4.0%

4

2.0%

2

1.0%

131

66.2%

4

2.0%

3

1.5%

기타업종

 

0.0%

21

56.8%

0

0.0%

1

2.7%

26

70.3%

0

0.0%

2

5.4%

전체

126

20.9%

121

20.1%

43

7.1%

13

2.2%

390

64.8%

14

2.3%

47

7.8%

 

 

 

 

 

8. 가맹본부 지원 필요사항 (업종별) 복수응답 설문


 

9. (지방)정부 지원 필요사항 복수응답 설문


 

10. 직접지원 필요사항(업종별) 복수응답 설문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전가협 #경기도 #코로나19영향 가맹점 실태조사 #실태조사 #설문조사방식